기사제목 [칼럼] 래피의 사색 # 61 '사진'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칼럼] 래피의 사색 # 61 '사진'

# 61 '사진'
기사입력 2016.12.06 10:09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아시아빅뉴스 김동효 문화칼럼리스트]

e98d4b67e1f2b447284d932696e9f6cf_F8FerALvQEaDqKq.jpg
[사진=김동효(DJ래피)]

래피의 사색 # 61  '사진'

 

20주년을 맞은 어느 화창한 봄날, 논현동의 한 스튜디오에 경희대 94학번 노땅들이 모였다. 아마도 이 사진은 앞으로 액자에 걸어놓고 두고두고 쳐다볼 사진이 될 것이다. 많은 사진 중에 유독 오래 봐도 질리지 않는 사진이 있다. 사람들의 주목을 받거나 작품성이 뛰어난 사진이 아니라 내 마음을 건드려주는 사진, 내가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추억을 생각하게 하는 사진이 바로 그렇다. 이것은 사진에서 Punctum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Punctum은 롤랑 바르트가 사용한 표현인데, 바늘로 피부를 찌르면 아프듯이 사진 속 어느 대상이 내 마음을 톡 건드려 기억이나 추억을 떠오르게 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시공간은 끝이 없다. 사진을 찍는 것은 시공간의 한자락을 잘라 담는 행위이자 2차원의 평면 이미지로 만드는 행위다. 좋은 사진은 현실을 자신의 시각으로 재구성한 사진이다. 조셉 곰브리치의 말처럼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만을 인식할 뿐이다. 즉 알고 있거나 공통된 경험을 가진 사람에게만 그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고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이다.

 

사진을 뜻하는 포토그래피는 영국의 과학자 허셜이 처음 언급했다. 라틴어의 을 의미하는 포스 (phos)’그린다는 뜻을 가진 그라포스 (graphos)’의 합성어다. 그러니 사진은 빛으로 그리는 그림인 셈이다. 2차원의 평면인 사진에 표현된 공간은 실제로는 환영에 불과한 가상공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근의 차이가 표현해주는 입체감으로 3차원의 공간으로 인식한다.

 

사진은 시간의 죽음이다. 스티븐 쇼는 시간의 흐름이 사진에 의해 끊길 때, 새로운 하나의 의미, 즉 사진적 의미가 생긴다고 했다. 셔터를 누르는 행위는 끊임없이 흐르는 시간의 한자락을 잘라 담는 셈이다. 즉 셔터를 누르면 주어진 시간 동안 빛이 들어온다. 빛은 이미지센서에 닿아 전기적인 신호로 바뀌고 이미지로 바뀐다. 시간은 영원히 동결되어 사진에 남는 것이다. 셔터막은 시간을 받아들이는 시간의 문이요, 셔터속도는 시간의 통로인 셈이다. 무한히 흐르는 시간의 한자락을 끊어 담았기에 사진 속 시간은 정지되어 영원한 과거로 남는다.

 

# 요약.

 

우리는 어떤 일이 끝나지 않았을 때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을 때, 끝날 때까지 마음이 편치 않다. 종결되지 못한 관심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자이가닉 효과다. 우리의 삶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나 근심은 마음에서 오랫동안 사라지지 않는다. 사진에서도 이 자이가닉 효과를 활용할 수 있다. 사진에 모호함, 혼란, 비밀스러움, 초현실, 추상 등의 요소가 있으면 시각적 수수께끼로 남는다. 이 때문에 사진을 보는 사람은 궁금증이 일고, 그 실체를 알기 위해 사진을 오랫동안 들여다보고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저작권자ⓒAsiaBigNews & asiabig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74616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정기구독신청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