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목 [칼럼] 래피의 사색 #89 '존재의 이유'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칼럼] 래피의 사색 #89 '존재의 이유'

#89 '존재의 이유'
기사입력 2016.12.23 17:51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아시아빅뉴스 김동효 문화칼럼리스트]
김동효 문화칼럼리스트.jpg
[사진=김동효(DJ래피)]

 

우리 모두는 이 세상에 나오기 위해 의지를 가지고 태어난 존재가 아니다. 부모에 의해 우연히 이 세상에 내 던져진, '피투'되어 있으면서 평생을 어딘가를 향해 자신을 '기투'해 나가는 존재다. 문제는 어디를 향해 기투할 것이냐는 것이다. 우연히 태어나 던져진 존재로서 한 평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내 존재의 이유는 무엇인가를 고민하며 하고싶은 일을 통해 돈이 따라오게 할 것이냐, 돈 그 자체를 맹목적으로 좇을 것이냐. 무려 2,000년 전 중국의 사마천은 격분한 황제에 의해 궁형(그로 인해 고환이 제거되어 그의 초상화에는 수염이 없다)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완성해 낸 불후의 명작 <사기>에서 돈에 대한 인간의 어리석은 집착을 아래와 같이 묘사했다.

 

"장수가 전쟁터에서 성을 공격하여 제일 먼저 적진을 함락시키려 하는 것은 큰 상을 받기 위해서다. 거리의 젊은이들이 강도 살인하여 간악한 짓을 하는 것도 사실상 재물을 목적으로 할 뿐이다. 의술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기술을 생업으로 하는 사람들이 있는 힘을 다 짜내는 것도 사례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관리가 법조문을 곡해하고 문서를 위조하여 벌을 받는 것은 뇌물의 유혹에 빠지기 때문이다."

 

돈의 흐름을 가만히 보면 참 웃긴다. 그 시발점은 언제나 중앙은행이다. 중앙은행은 금융기관에 대출을 해주는 등의 방법으로 돈을 풀고 이 모든 경우에 나간 돈에 대해 이자를 챙긴다. 경제학에서는 이러한 이익을 가리켜 '시뇨리지' 라고 한다. 중앙은행에 이자를 지불하고 돈을 손에 넣은 A 금융기관은 이 돈에 그보다 더 높은 이자율을 붙여 민간기업과 개인에게 빌려준다. 돈을 대출받은 ''고객은 그 돈의 일부를 현금으로 쓰고 나머지는 B 은행에 맡겨둔다. 그러면 B 은행은 예금의 일부만을 지불준비금으로 떼어두고 나머지를 ''고객에게 빌려준다. ''은 그중의 일부만을 인출하고 나머지를 C 은행에 맡긴다. C 은행은 그중 일부를 지불준비금으로 예탁하고 나머지를 고객 ''에게 꾸어준다. 이것은 결국 한국은행이 시장에 투입한 최초의 화폐가 고객과 시중은행을 돌고 돌면서 몇 배로 '뻥튀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학에서는 그 뻥튀기의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승수효과'라는 고상한 표현을 쓴다.

 

자본축적에 사로잡힌 신자유주의는 소유양식으로서의 삶을 일반화한다. 소유양식으로서의 삶의 본질은 탐욕이며 소유는 자신이 가진 것들로 자신의 존재 가치를 환원한다. 문제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대상들은 언제든지 사라질 수 있는 것들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소유양식으로서의 존재는 불안하며 이를 무마하기 위해 더 많이 소유하고자 한다. 더 많이 소유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순간의 행복을 저당 잡혀야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언제나 자신의 현재 소득이 부족하다는 불만을 가지고 산다. 그러다 결국은 죽는다. 제 아무리 돈이 많아도 결국 늙어가는 정신과 죽어가는 몸을 새걸로 바꿀수는 없다.

 

우리는 대체 이 세상을 왜 살아가는가? 장 폴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 (L’Etre et le Neant)>에서 (le Neant)’라는 것은, 인간에게는 미리 주어진 본질이 없다 (Nothingness)’는 것과, 그래서 인간은 스스로의 본질을 만드는 존재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인간이 현재의 자신을 반성할 수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자신을 반성할 수 있다는 것은 인간은 자신에 대해서, 즉 자신에게서 거리를 둘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이 대자 (對自)’라는 개념이다. ‘대자라는 존재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은 결국 과거나 현재의 자신과는 다른 자신을 자신의 의지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 요약.

 

증권투자 사업을 하는 이가 있다. 좀처럼 얼굴 보기 힘든 친구가 전화를 걸더니 질문을 던졌다.

네가 언제 죽을지에 관한 정보를 살 수 있다고 한다면, 넌 살래 안 살래?”

...사지 않을래.”

하지만 난 살 것 같아. 죽음이 갑자기 찾아오면 그동안 하고 싶었던 일, 내가 좋아하는 일들을 해보지도 못하고 묻히고 말 텐데, 그건 정말 안타까운 일이잖아. 일단은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싶어. 그동안 일에만 치여서 집에 들어간 횟수가 손으로 꼽을 정도야. 그리고 나머지 동안은 나 자신을 위해 투자하고 싶어.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일을 하려고 해.”

그건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잖아. 지금 이 순간에 왜 하지 않는 거야?”

그 친구는 한숨을 내쉬며 말한다. “지금은 너무 바쁘잖아. 도저히 그럴 시간이 없어.”

그러다 친구는 잠시 말을 멈추었고 갈등하는 그의 마음이 수화기 너머로 전해져왔다. 갑자기 마음을 바꾼 듯 그가 단호하게 말했다. “마지막 날이 올 때까지 기다리다간 안 되겠어. 빨리 해치워야지.”

 

우리는 매일 바쁘게 정신없이 살아간다. 뭐가 그리도 바쁠까? 이 질문에 명쾌히 답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지금 이 순간 간절히 바라면서도 당장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마음속에만 담아두는 일이 분명 있을 것이다. 스스로에게 중요한 일인데도 바쁘다는 이유로 마음속에 꾹꾹 눌러 담고 있는일. 죽음에 임박해서야 해야 할 일을 못했다고 후회하는 것은 너무나도 슬픈 일이다.

 

<저작권자ⓒAsiaBigNews & asiabig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23596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정기구독신청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top